전자 IT기계자동차공학부의 세부 전공은 크게 4개로 구성되어있으며, 복수의 전공을 수강하는 것을 권장하고 있습니다.
우리가 일상에서 편리하게 사용하는 기계장치 및 구조물의 설계와 생산에 관련된 공학적인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현대 산업사회의 주춧돌 역할을 담당하는 전공분야입니다.
전 화055-320-3182
홈페이지http://homepage.inje.ac.kr/~mech
건설기계기사, 건설기계산업기사, 건설기계정비기사, 건설기계정비산업기사, 공조냉동기계기사, 공조냉동기계산업기사, 궤도장비정비기사, 궤도장비정비산업기사, 사출금형산업기사, 사출금형설계기사, 프레스금형산업기사, 프레스금형설계기사, 컴퓨터응용가공산업기사, 기계설계기사, 기계설계산업기사, 기계정비산업기사, 기계조립산업기사, 농업기계기사, 농업기계산업기사, 메카트로닉스기사, 메카트로닉스산업기사, 생산자동화산업기사, 배관설비산업기사, 보일러산업기사, 설비보전기사, 용접기사, 용접산업기사, 일반기계기사, 전자부품장착(SMT)산업기사, 정밀측정산업기사 등
자동차, 발전소, 플랜트, 공작기계, 컴퓨터, 로봇, 항공기 및 선박 등의 설계 및 제조분야 반도체 제조장비 및 검사장비, 반도체 물류 자동화 장비 분야, FPD 등 Display 장비 제조회사 및 개발 연구소, 의료기기 등 첨단 의료관련 기계장비의 설계 개발 분야, 대학, 연구소, 기업체 등의 교육자 및 연구원, 산업정책 및 기술 분야 공무원, 특허 변리사, 인터넷, 멀티미디어, 라우터, 스위치, LAN·통신망, 홈 네트워크, u-헬스,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 교환·전송, 이동통신, 위성통신, 휴대인터넷, 데이터통신, 광통신, CATV·방송, 위성멀티미디어방송 (DMB), 디지털통신, DB·정보처리, 컴퓨터·단말장치 분야 관련 국가 행정기관, 국공립연구소, 통신사업자, 통신망 구축 기업체, 통신서비스 구축 기업체, 부품·장비 제조업체, 네트워크 엔지니어링 업체, 통신서비스 개발 기업체, 기타 정보통신 관련 기업체 및 연구소, 방송국, 교육기관, 정보통신 벤처기업, 전기·전자·반도체산업, 컴퓨터 H/W 및 S/W산업, 지능형 및 서비스 로봇 산업, 전원관련산업(SMPS, 배터리등), 지능형시스템(지능형로봇, 지능형홈, 지능형 자동차, 지능형빌딩)산업, 방송.통신산업(데이터통신, 이동통신 및 위성통신 등), 멀티미디어산업, 의료전자산업, 전자가전, 영상디스플레이(LCD, CRT, PDP), 영상기기, 음향기기, 계측기기, 제어및계측산업 등 기타 산업사회 전반, 공대에서 진출분야가 가장 다양함
현대 기계공학 기술 과 전자 및 정보통신 기술의 결집체인 자동차의 설계, 제작 및 시험평가 전반에 대한 학문분야로서 국내 자동차공업의 동남벨트 중심지에 위치한 지리적 이점을 기반으로 하여 미래형 자동차 핵심부품을 개발하는데 필요한 전문역량을 배양하는 전공분야입니다.
전 화055-320-3182
홈페이지http://homepage.inje.ac.kr/~mech/
자동차검사기사, 자동차검사산업기사, 자동차정비기사, 자동차정비산업기사, 자동차사정(1, 2급), 자동차관리기사 등
자동차, 발전소, 플랜트, 공작기계, 컴퓨터, 로봇, 항공기 및 선박 등의 설계 및 제조분야 반도체 제조장비 및 검사장비, 반도체 물류 자동화 장비 분야, FPD 등 Display 장비 제조회사 및 개발 연구소, 의료기기 등 첨단 의료관련 기계장비의 설계 개발 분야, 대학, 연구소, 기업체 등의 교육자 및 연구원, 산업정책 및 기술 분야 공무원, 특허 변리사, 인터넷, 멀티미디어, 라우터, 스위치, LAN·통신망, 홈 네트워크, u-헬스,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 교환·전송, 이동통신, 위성통신, 휴대인터넷, 데이터통신, 광통신, CATV·방송, 위성멀티미디어방송 (DMB), 디지털통신, DB·정보처리, 컴퓨터·단말장치 분야 관련 국가 행정기관, 국공립연구소, 통신사업자, 통신망 구축 기업체, 통신서비스 구축 기업체, 부품·장비 제조업체, 네트워크 엔지니어링 업체, 통신서비스 개발 기업체, 기타 정보통신 관련 기업체 및 연구소, 방송국, 교육기관, 정보통신 벤처기업, 전기·전자·반도체산업, 컴퓨터 H/W 및 S/W산업, 지능형 및 서비스 로봇 산업, 전원관련산업(SMPS, 배터리등), 지능형시스템(지능형로봇, 지능형홈, 지능형 자동차, 지능형빌딩)산업, 방송.통신산업(데이터통신, 이동통신 및 위성통신 등), 멀티미디어산업, 의료전자산업, 전자가전, 영상디스플레이(LCD, CRT, PDP), 영상기기, 음향기기, 계측기기, 제어및계측산업 등 기타 산업사회 전반, 공대에서 진출분야가 가장 다양함
우리나라는 과거 반도체와 각종 전자제품의 수출을 기반으로 오늘날은 휴대폰과 LCD등 여러 전자산업 분야에서 세계적인 경쟁력을 갖추어 나가고 있다. 또한 미래 핵심기술 분야인 지능형 로봇분야, 녹색 에너지 분야, 자동차 전기장치분야 그리고 전기 자동차 분야 실로 다양한 분야에서 전자산업은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전자공학은 이러한 전자산업이 필요로 하는 전문인력을 양성하는 학문으로 오늘날에는 한 나라의 국제적인 경쟁력을 높이는데 매우 중요한 분야라고 할 수 있다.
전자공학과는 이러한 시대적, 국가적인 요구에 부응하고, 첨단 전자 산업분야를 선도할 창의성과 실무능력을 갖춘 인재의 양성에 역점을 두고 있다. 아울러 도덕성과 협동심을 배양하여 다양한 타 전공과의 연계산업 분야에서도 역량을 발휘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우는 데도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 본 학과는 이러한 노력들을 바탕으로 국가가 요구하는 첨단 전자 산업을 이끌어 나갈 전문 공학인 양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전 화055-320-3189
홈페이지http://eirobot.inje.ac.kr
전자기사, 메카트로닉스기사, 전자계산기사, 전자계산기조직응용기사, 계측제어기사, 정보처리기사, 유선설비기사, 무선설비기사, 전파통신기사, PC정비사, 컴퓨터활용, 통신중등 2급정교사, 전기기사, 전기설비사, 로봇기술자격증
자동차, 발전소, 플랜트, 공작기계, 컴퓨터, 로봇, 항공기 및 선박 등의 설계 및 제조분야 반도체 제조장비 및 검사장비, 반도체 물류 자동화 장비 분야, FPD 등 Display 장비 제조회사 및 개발 연구소, 의료기기 등 첨단 의료관련 기계장비의 설계 개발 분야, 대학, 연구소, 기업체 등의 교육자 및 연구원, 산업정책 및 기술 분야 공무원, 특허 변리사, 인터넷, 멀티미디어, 라우터, 스위치, LAN·통신망, 홈 네트워크, u-헬스,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 교환·전송, 이동통신, 위성통신, 휴대인터넷, 데이터통신, 광통신, CATV·방송, 위성멀티미디어방송 (DMB), 디지털통신, DB·정보처리, 컴퓨터·단말장치 분야 관련 국가 행정기관, 국공립연구소, 통신사업자, 통신망 구축 기업체, 통신서비스 구축 기업체, 부품·장비 제조업체, 네트워크 엔지니어링 업체, 통신서비스 개발 기업체, 기타 정보통신 관련 기업체 및 연구소, 방송국, 교육기관, 정보통신 벤처기업, 전기·전자·반도체산업, 컴퓨터 H/W 및 S/W산업, 지능형 및 서비스 로봇 산업, 전원관련산업(SMPS, 배터리등), 지능형시스템(지능형로봇, 지능형홈, 지능형 자동차, 지능형빌딩)산업, 방송.통신산업(데이터통신, 이동통신 및 위성통신 등), 멀티미디어산업, 의료전자산업, 전자가전, 영상디스플레이(LCD, CRT, PDP), 영상기기, 음향기기, 계측기기, 제어및계측산업 등 기타 산업사회 전반, 공대에서 진출분야가 가장 다양함
정보를 가공하여 상호간에 안전하게 주고받을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하는 학문분야로서 인터넷, 모바일통신, 지능형 홈네트워크,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 유비쿼터스 네트워크, 휴대인터넷(Wi-Fi/Wibro) 등을 포함합니다.
전 화055-320-3521
홈페이지http://infocom.inje.ac.kr
정보통신설비기사, 정보처리기사, 전자계산기조직응용기사, 전자계산기사, 전파통신기사, 유선설비기사, 무선설비기사, 전자기사, PCT, 컴퓨터활용능력, PC정비사, 네트워크관리사, 시스템관리사, 각종 컴퓨터 및 통신자격증
자동차, 발전소, 플랜트, 공작기계, 컴퓨터, 로봇, 항공기 및 선박 등의 설계 및 제조분야 반도체 제조장비 및 검사장비, 반도체 물류 자동화 장비 분야, FPD 등 Display 장비 제조회사 및 개발 연구소, 의료기기 등 첨단 의료관련 기계장비의 설계 개발 분야, 대학, 연구소, 기업체 등의 교육자 및 연구원, 산업정책 및 기술 분야 공무원, 특허 변리사, 인터넷, 멀티미디어, 라우터, 스위치, LAN·통신망, 홈 네트워크, u-헬스,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 교환·전송, 이동통신, 위성통신, 휴대인터넷, 데이터통신, 광통신, CATV·방송, 위성멀티미디어방송 (DMB), 디지털통신, DB·정보처리, 컴퓨터·단말장치 분야 관련 국가 행정기관, 국공립연구소, 통신사업자, 통신망 구축 기업체, 통신서비스 구축 기업체, 부품·장비 제조업체, 네트워크 엔지니어링 업체, 통신서비스 개발 기업체, 기타 정보통신 관련 기업체 및 연구소, 방송국, 교육기관, 정보통신 벤처기업, 전기·전자·반도체산업, 컴퓨터 H/W 및 S/W산업, 지능형 및 서비스 로봇 산업, 전원관련산업(SMPS, 배터리등), 지능형시스템(지능형로봇, 지능형홈, 지능형 자동차, 지능형빌딩)산업, 방송.통신산업(데이터통신, 이동통신 및 위성통신 등), 멀티미디어산업, 의료전자산업, 전자가전, 영상디스플레이(LCD, CRT, PDP), 영상기기, 음향기기, 계측기기, 제어및계측산업 등 기타 산업사회 전반, 공대에서 진출분야가 가장 다양함